대학원/연구
학과소개

보건과학과
-
홈페이지https://hpm.korea.ac.kr/
-
위치하나과학관 B동 153호 보건과학대학 행정팀
-
TEL02)3290-5600
학과소개
사회경제수준이 발전할수록 건강한 삶에 대한 요구는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보건의료 정책 및 제도와 건강과학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변화는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 특히 건강한 삶을 누리고자 하는데 있기 때문에 보건과학분야의 연구의 필요성은 날로 증대될 것입니다.
보건과학에서는 21세기 지식정보 사회, 선진복지사회의 보건의료현장에서 요구하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우수한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전문적 보건과학 지식을 산학의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학문을 지향합니다. 현장과 직접적으로 연계하는 현장중심의 교육, 전문가초청 워크숍 및 토론회, 해외교류, 유관기관과의 공동연구 등을 통하여 현재 보건과학 현장에서 활동하고 계신 분들과 앞으로 활동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고, 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보건과학과는 전문적 지도자로서 사회를 주도해 나갈 여러분들의 미래를 위해 힘찬 도약기회를 제공하며, 더 나아가서는 국가와 민족의 건강에 대한 비전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와 교육을 위하여 분단한 노력을 하면서 국민 보건향상을 위한 인재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학과전공분야
- 보건정책관리학전공 Major in Health Policy & Management
- 역학∙위해관리학전공 Major in Epidemiology & Risk Management
- 재활과학전공 Major in Rehabilitation Sciences
- 치의기공학전공 Major in Dental Laboratory Science and Engineering
- 보건생명∙식품과학전공 Major in Biomedical & Food Sciences
학과주임 인사말
건강은 전통적으로 개인적인 행운으로, 복으로, 운의 결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일어난 사회역학 운동, 그리고 2000년대 초반 세계보건기구에서 활동한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위원회(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이후 많은 사람들의 생각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태어나고, 자라며, 살고, 일하고, 나이드는, 보건의료시스템을 포함하는, 모든 조건(conditions)”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조건들을 결정하는 모든 공공정책이 건강에 좋은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health in all policies)는 방향으로 말입니다.
우리는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려 합니다. “인간이 사회적이면서 동시에 생물학적인 존재인 이상, 사회적 환경과 아무런 상호작용 없이 발현되는 생물학적 과정은 없다”는 것이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의 정수였다면, 동시에 사회과학은 이렇게 발현된 생물학적 ‘과정’에 관심을 두어야 합니다. 사회적 요인이 질병과 건강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을 넘어, 인체 내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질병과 건강이 발생되는 것인지를 탐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우리 학과에서는 건강증진, 예방, 치료, 재활의 전 주기를 개입의 대상으로 포괄하는 ‘보건학’을 중심으로 하여 사회정책, 통계/역학, 보건의료정책, 과학기술정책, 영양 및 환경정책과 같은 다양한 부문에 대한 정책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문제해결형 보건학 연구 및 교육’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건강증진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며, 그러한 일들을 수행할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 초학제적 융합 인재를 양성해내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학과주임
대학원 현황(2024-1학기 기준)
<보건과학과 재학생>
- 박사 : 18명
- 석사 : 40명
- 석박통합 : 7명
<보건과학과 교수진>
- 전임교수 : 14
- 객원 : 1
- 명예교수 : 3
<수료요건>- 내규 참고
- 석사 : 전공 - 15 학점 / 연구지도 - 8학점 / 수료학점 - 24학점 (전공 포함)
- 박사 : 전공 - 20 학점 / 연구지도 - 8학점 / 수료학점 - 30학점 (전공 포함)
- 석박통합 : 전공 - 27학점 / 연구지도 - 16(12)학점 / 수료학점 - 48학점 (전공 포함)
<종합시험>
-
(1). 지도교수가 지정하고 학과주임의 승인을 얻어 종합시험의 과목을 정하며 그 수는 다음과 같다.
- - 석사 : 전공과목 중 2과목
- - 박사 : 전공과목 중 4과목
- (2). 종합시험 불합격자는 다음 학기에 과락한 과목에 대한 재시험을 시행한다.
- (3). 종합시험 신청 과목은 전임교원이 개설한 과목에 한다.(단, 경과조치로 이 내규의 시행은 2025년 9월 1일자부터 시행한다.)
<학위논문 제출자격>
- 석사과정 :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 이상에 1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하거나 학술대회에 제 1저자로 1회 이상 구두 혹은 포스터 발표.
-
박사과정 및 석박사통합과정
- - 자연계열 전공 : SCI급 국제저명학술지에 2편 이상 또는 해당분야 상위 10% 저널에 1편 이상의 논문을 주저자로 게재 (단, 게재예정 논문도 인정한다.)
- - 사회계열전공 :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 이상에 2편 이상 또는 SSCI급 1편 이상의 논문을 주저자로 게재하고 예비발표에 합격 (단, 게재예정 논문도 인정한다.)
<졸업요건>
- [ 수료학점, 외국어, 인권과 성평등, 연구윤리, 종합시험 ] 충족시 졸업
<외국어 면제 및 대체어학강좌 관련 안내>
졸업요건
수료학점, 외국어, 종합시험, 인권과 성평등, 연구윤리, 학위청구논문 충족시 졸업 가능
1. 수료학점 * 수료학점과 연구지도 학점은 별개
- 석사 : 24학점 중 전공이수학점 15학점, 연구지도 8학점
- 박사 : 30학점 중 전공이수학점 20학점, 연구지도 8학점
- 석박통합 : 48학점 중 전공이수학점 27학점, 연구지도 16(12)학점
*조기수료시 연구지도학점 12, 14학점만 충족하여도 수료 가능
*석박통합과정 기준을 충족한 자는 1년의 범위 내에서 수업연한 단축 가능
단, 통합과정 수학기간 전체의 평점평균이 4.0 이상인 자
2. 외국어

의생명융합과학과
-
홈페이지https://bsm.korea.ac.kr/
-
위치하나과학관 B동 153호 보건과학대학 행정팀
-
TEL02)3290-5600
학과소개
의생명융합과학과는 기초 및 응용 의생명과학 그리고 바이오식품 분야를 접목하여 삶의 질적인 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건강의 증진을 도모할 목적으로 기초 및 응용 의생명과학 그리고 바이오식품 과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과 연구능력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한다.
본 학과는 기초 및 응용 의생명과학 그리고 바이오식품 등과 관련된 다양한 전공의 교수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Brain Korea 21 Plus 인재양성 사업에의 참여뿐만 아니라 생물 신소재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는 학과로 인구 고령화와 같은 사회적인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핵심 연구역량을 함양하여 글로벌 연구환경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성장잠재력이 높은 전문연구인력의 육성 및 양성을 목표로 하는 학과이다.
학과전공분야
- 바이오식의과학전공 Major in Biofood and Medical Science
- 바이오의과학전공 Major in Biomedical Science
학과주임 인사말
본 학과는 생명과학과 의과학의 기초 및 바이오식품영양과학 등 응용학문을 교육하여 첨단 바이오식품. 산업 및 의생명산업의 성장을 주도 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전공 분야의 교수진들이 소속되어 있어 융합 연구를 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어 있으며 우수한 교수진과 열정이 넘치는 대학원생들이 이끌어 가는 연구환경이 우수한 학과입니다.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인자는 갈수록 다양화되고 있는데 글로벌화에 따라 특정지역 병원체의 세계적인 유행 유발 뿐만 아니라 복잡한 사회환경의 변화로 인한 정신적인 스트레스 및 영양불균형 등이 다양한 질병발생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사회적인 변화에 따라 질병의 치료뿐만 아니라 예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환경에서 본 학과에 소속되어 있는 교수진은 의생명융합과학부에 진학하는 학생들을 성실히 지도하여 인류의 건강증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글로벌인재로 성장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의생명융합과학과 학과주임
졸업요건
수료학점, 외국어, 종합시험, 인권과 성평등, 연구윤리, 학위청구논문 충족시 졸업 가능
1. 수료학점 * 수료학점과 연구지도 학점은 별개
- 석사 : 24학점 중 전공이수학점 15학점, 연구지도 8학점
- 박사 : 30학점 중 전공이수학점 20학점, 연구지도 8학점
- 석박통합 : 48학점 중 전공이수학점 27학점, 연구지도 16(12)학점
*조기수료시 연구지도학점 12, 14학점만 충족하여도 수료 가능
*석박통합과정 기준을 충족한 자는 1년의 범위 내에서 수업연한 단축 가능
단, 통합과정 수학기간 전체의 평점평균이 4.0 이상인 자
2. 외국어

바이오의공학과
-
홈페이지https://bmeng.korea.ac.kr/
-
위치하나과학관 B동 153호 보건과학대학 행정팀
-
TEL02)3290-5600
학과소개
바이오의공학은 자연과학과 공학기술을 결합하여 실제 병원에서 의료행위 시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분야이다. 의료 분야의 다양성으로 인해 연구 분야가 매우 폭 넓게 존재하며, 의학은 물론 물리, 화학, 생물 등의 기초과학과 기계, 전자, 재료, 컴퓨터 과학 등의 공학분야를 아우르는 창의적 융합 연구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융합 연구의 필요성이 크게 강조됨에 따라 본 대학원은 기초과학-응용과학-의학’으로 연결되는 통합 연계 연구(바이오의료융합 연구)를 통하여 의공학 (바이오융합공학) 분야의 선도기술 연구를 수행한다. 또한 미래 의료과학을 위한 원천 기술 개발에 정진할 창의적 인재를 발굴하고, 국가 의료 산업의 세계화를 견인할 전문적 리더 양성을 목표로 한다.
본 대학원은 이를 위하여 공학과 의학 임상이 연계된 기초 공통 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3개 특성화 분야 (의료영상 및 의학물리, 의료기기, 생체재료)를 선정하여 이에 집중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편성교과목
- HBL501 공통공학실험(EXPERIMENTATION) [3]
- MATLAB, Labview와 같은 프로그램, 다양한 수치해석 기법과 3차원 영상 구현방법등 공학실험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방법들에 대하여 학습한다.
- HBL502 의학로테이션(CLINICAL ROTATION) [3]
- 실제 임상의사들의 수술 참관 및 강연을 통해 실제 임상현장에 쓰일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학습한다.
- HBL601 고급광학이론(ADVANCED OPTICS THEORY) [3]
- HBL553 마이크로단위광학응용(MICRON-SCALE OPTICAL APPLICATIONS IN BIOLOGY) [3]
- HBL712 플라즈모닉스(PLASMONICS) [3]
- HBL713 방사선검출및계측Ⅰ(RADIATION DETECTION AND MEASUREMENT I)[3]
- HBL571 의료영상시스템(MEDICAL IMAGING SYSTEM) [3]
- HBL556 패턴인식및기계학습(PATTERN RECOGNITION AND MACHINE LEARNING) [3]
- HBL568 고급방사선물리학(ADVANCED RADIOLOGICAL PHYSICS) [3]
- HBL559 의료영상소자학(MEDICAL IMAGING DEVICES) [3]
- HBL551 수치해석(NUMERICAL ANALYSIS) [3]
- HBL697 생체조직및재생의학(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3]
- HBL707 의료용소재와생체적합성(BIOMEDICAL MATERIALS AND BIOCOMPATIBILITY) [3]
- HBL705 나노의학개론(INTRODUCTION TO NANOMEDICINE) [3]
- HBL710 바이오칩(BIOCHIP) [3]
- HBL708 의료기기계측기술(AMPLIFIER DESIGN FOR MEDICAL INSTRUMENTATION) [3]
- HBL691 마이크로제작기술(MICROFABRICATION TECHNOLOGY) [3]
- HBL510 의공학콜로퀴움I(Biomedical Engineering Colloquium I) [3]
- HBL511 의공학콜로퀴움II(Biomedical Engineering Colloquium II) [3]
- HBL512 의공학콜로퀴움III(Biomedical Engineering Colloquium III) [3]
- HBL513 의공학콜로퀴움IV(Biomedical Engineering Colloquium IV) [3]
- HBL720 메디컬임플란트(MEDICAL IMPLANT) [3]
- HBL721 바이오메디컬스캐폴드공정(BIOMEDICAL SCAFFOLD) [3]
- HBL690 광간섭영상(INTERFEROMETRIC IMAGING) [3]
- HBL702 광-생체조직상호작용(LIGHT-TISSUE INTERACTION) [3]
- HBL687 바이오포토닉스최신기술동향I(SPECIAL TOPICS IN BIOPHOTONICS I) [3]
- HBL688 바이오포토닉스최신기술동향II(SPECIAL TOPICS IN BIOPHOTONICS II) [3]
- HBL711 분자분광학(MOLECULAR SPECTROSCOPY) [3]
- HBL552 고급프로그래밍(ADVANCED COMPUTER PROGRAMMING) [3]
- HBL555 계산뇌영상분석(COMPUTATIONAL NEUROIMAGE ANALYSIS) [3]
- HBL576 단층영상알고리즘(IMAGE RECONSTRUCTION ALGORITHMS) [3]
- HBL714 방사선검출및계측Ⅱ(RADIATION DETECTION AND MEASUREMENT II) [3]
- HBL689 방사선치료계획학및실습(TREATMENT PLANNING OF RADIOTHERAPY AND PRACTICE) [3]
- HBL574 방사선치료물리학(RADIATION THERAPY PHYSICS) [3]
- HBL821 방사선치료정도관리학및실습(QUALITY ASSURANCE OF RADIOTHERAPY AND PRACTICE) [3]
- HBL575 암치료기술학(CANCER THERAPY TECHNIQUE) [3]
- HBL577 엑스선및감마영상개론(X-RAY AND GAMMA-RAY IMAGING) [3]
- HBL715 핵의학물리개론(INTRODUCTION TO NUCLEAR MEDICINE PHYSICS) [3]
- HBL822 입자치료학(PARTICLE THERAPY) [3]
- HBL699 고분자생체재료(POLYMERS IN BIOMATERIALS) [3]
- HBL562 생체재료분석기술(ANALYSIS TECHNIQUES FOR BIOMATERIALS) [3]
- HBL698 생체재료표면처리(SURFACE TREATMENT OF BIOMATERIALS) [3]
- HBL684 암생물학(CANCER BIOLOGY) [3]
- HBL686 나노바이오최신연구동향(RECENT ADVANCES IN NANOBIOTECHNOLOGY) [3]
- HBL567 인공장기(ARTIFICIAL ORGANS) [3]
- HBL695 나노가공기술(NANOFABRICATION) [3]
- HBL825 미세유체이론및실제Ⅰ(MICROFLUIDICS THEORY AND APPLICATION Ⅰ) [3]
- HBL826 미세유체이론및실제Ⅱ(MICROFLUIDICS THEORY AND APPLICATION Ⅱ) [3]
- HBL683 생체나노분석(NANOSCALE CHARACTERIZATION OF BIOMATERIALS) [3]
- HBL680 생화학분석시스템디자인(SYSTEM DESIGN FOR BIOCHEMICAL ANALYSIS) [3]
- HBL605 차세대생화학분석(NEXT GENERATION BIOCHEMICAL ANALYSIS) [3]
- HBL554 의료기기제어기술(DIGITAL SYSTEM CONTROL FOR MEDICAL INSTRUMENTATION) [3]
- HBL681 첨단의공학기술리뷰I(REVIEW OF EDGE BIOMEDICAL TECHNOLOGY I) [3]
- HBL682 첨단의공학기술리뷰II(REVIEW OF EDGE BIOMEDICAL TECHNOLOGY II) [3]
- HBL722 바이오포토닉스(Biophotonics) [3]
- HBL723 의공세포생물학(Biomedical cell biology) [3]
- HBL724 바이오메디컬 3D 프린팅 기술(Biomedical 3D Printing) [3]
- HBL725 생분해성 소재와 응용(Bioresorbable Materials and Applications) [3]
- HBL726 의공학프랙티컴Ⅰ(Biomedical Engineering Practicum I) [3]
- HBL727 의공학프랙티컴Ⅱ(Biomedical Engineering Practicum II) [3]
학과주임 인사말
최근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장수에 대한 생각이 단순히 오래 사는 것이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의료 산업에 대한 세계 시장 규모도 2011년에 약 1400조원에 이르렀으며, 그 성장률도 매년 3-10 % 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노령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의료 서비스의 향상과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의공학에 대한 기술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입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본 대학원에서는 의공학의 미래 신기술을 선도하고 의료산업의 신 성장동력을 발굴하기 위하여 연구 기반을 확충하고 이와 연계된 대학원 체제를 확립하였습니다. 특히 다양한 분야의 공학 기술과 임상 기반의 의학 통합 연계 연구 프레임을 구축하고 의료 산업의 원천이 될 신 기술을 개발에 연구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대학원에서는 의공학(바이오융합공학)의 새로운 미래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진취적이고 창의적인 인재 양성뿐만 아니라 의료 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견인할 리더쉽을 고취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경주할 것입니다.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바이오의공학과 학과주임
졸업요건
수료학점, 외국어, 종합시험, 인권과 성평등, 연구윤리, 학위청구논문 충족시 졸업 가능
1. 수료학점 * 수료학점과 연구지도 학점은 별개
- 석사 : 24학점 중 전공이수학점 14학점(기초공통 1개포함), 연구지도 8학점
- 박사 : 30학점 중 전공이수학점 18학점(기초공통 2개포함), 연구지도 8학점
- 석박통합 : 48학점 중 전공이수학점 27학점 (기초공통 2개포함), 연구지도 16(12)학점
*조기수료시 연구지도학점 12, 14학점만 충족하여도 수료 가능
*석박통합과정 기준을 충족한 자는 1년의 범위 내에서 수업연한 단축 가능
단, 통합과정 수학기간 전체의 평점평균이 4.0 이상인 자
2. 외국어

보건안전융합과학과
-
홈페이지https://hpm.korea.ac.kr/
-
위치하나과학관 B동 153호 보건과학대학 행정팀
-
TEL02)3290-5600
학과소개
최근 보건 ‧ 의료 및 환경 전반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국민 안심 ‧ 국민 안전에 관한 전문 인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학과는 인간의 질병과 환경의 관계에서 위해요인을 규명하거나 질병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여 건강사회를 구현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
세부전공은 방사선의과학 전공(Major in Radiomedical Science), 임상검사과학전공(Clinical Laboratory Science), 환경보건안전전공(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이 있다.
- 방사선의과학 전공은 방사선학과, 원자력관련학과, 물리학과의 학부 졸업생이 보다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기 적합하며 주로 국책연구소, 연구직 공무원 또는 대학교수로 진출하게 된다.
- 임상검사과학전공은 임상병리학과, 화학과, 생물학과 학부졸업생에게 첨단 바이오의 임상에 적용되는 진단검사과학 관련 지식, 병원미생물학, 세포치료학, 줄기세포 및 혈액학, 분자 병리학등을 교육하며 병원 연구소, 바이오산업체의 연구소, 제약분야연구소와 교수요원으로 진출하게 된다.
- 환경보건안전전공은 보건환경학과, 환경공학과, 산업안전, 화학, 생명과학 관련학과의 학부 졸업생에게 보다 전문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 주로 국가 환경직공무원, 대기업의 환경, 안전관리자, 환경연구직, 보건 및 안전연구직으로 진출하게 된다.
우리학과의 가장 큰 특징은 환경방사선 전공자를 육성한다는 점이며 이 분야의 전문가를 육성하는 대학원은 전무한 상황이다. 우리 학부는 방사선안전, 감염병안전, 환경안전을 추구하는 첨단융합학과이다.
학과전공분야
- 방사선의과학 전공 Major in Radiomedical Science
- 임상검사과학전공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환경보건안전전공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 미세먼지관리전공 Particulate Matter Management
학과주임 인사말
[보건안전융합과학과]라고 하는 다소 생소한 학과 명칭을 들어보셨습니까. 좋은 단어를 전부 붙여 놓은 것 같은 우리 학과 명칭은 실제적으로도 좋은 연구를 하는 학문분야를 가리키는 이름입니다.
보건이란 아주 큰 범위의 학문 분야로서 질병을 미리 예측하고 발견하는 모든 분야의 학문을 말합니다. 또한 위해요인을 찾아내는 일도 보건의 범위입니다. 현대의 위해요인은 아주 작은 인자에 따라 좌우되는 때가 많은데 미세먼지, 물, 공기오염 등도 있고 세균 등 감염원이 있을 때도 나타납니다. 특히 요즘은 의료방사선이나 핵물질에 의한 오염도 커다란 유해요인으로 부각되어 있습니다.
저희 학과는 방사선 안전, 감염병 안전, 환경 안전을 한꺼번에 공부하는 융합된 학과입니다. 보건안전융합과학과에서 열심히 연구하여 인류의 유해요인을 제거하고 예방하는 숭고한 업적을 실현해 보시길 바랍니다.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안전융합과학과 학과주임
졸업요건
수료학점, 외국어, 종합시험, 인권과 성평등, 연구윤리, 학위청구논문 충족시 졸업 가능
1. 수료학점 * 수료학점과 연구지도 학점은 별개
- 석사 : 24학점 중 전공이수학점 15학점, 연구지도 8학점
- 박사 : 30학점 중 전공이수학점 15학점, 연구지도 8학점
- 석박통합 : 48학점 중 전공이수학점 24학점, 연구지도 16(12)학점
*조기수료시 연구지도학점 12, 14학점만 충족하여도 수료 가능
*석박통합과정 기준을 충족한 자는 1년의 범위 내에서 수업연한 단축 가능
단, 통합과정 수학기간 전체의 평점평균이 4.0 이상인 자
2. 외국어
대학원 편성 교과목
학수번호 | 이수구분 | 교과목명 | 교과목명(영문) | 학점 | 시간 | 전공명 | ||
---|---|---|---|---|---|---|---|---|
계 | 이론 | 실험(실습) | ||||||
HSL884 | 전공 | 화학물질정책과 위해성평가 | Chemical Substances Management Policy and Risk Assessment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527 | 전공 | 고급방사선수치해석 | ADVANCED RADIATION NUMERICAL ANALYSIS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883 | 전공 | 리빙랩기반환경데이터베이스 | LIVING LAB-BASED ENVIRONMENTAL DATABASE | 3 | 3 | 3 | 0 | 미세먼지관리 |
HSL918 | 전공 | 감염관리학특론 | SPECIAL TOPICS IN INFECTION CONTROL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913 | 전공 | 고급면역학 | ADVANCED IMMUNOLOGY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823 | 전공 | 고급방사선계측학 | ADVANCED RADIATION MEASUREMENT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912 | 전공 | 고급임상혈액학특론 | SPECIAL TOPICS IN ADVANCED CLINICAL HEMATOLOGY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854 | 전공 | 대기과학 | ATMOSPHERIC SCIENCE | 3 | 3 | 3 | 0 | 미세먼지관리 |
HSL710 | 전공 | 대기오염측정실습 | AIR POLLUTION MEASUREMENT | 3 | 3 | 0 | 3 | 미세먼지관리 |
HSL524 | 전공 | 몬테카를로방법 | MONTE CARLO METHOD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541 | 전공 | 물환경과생태독성 | WATER POLLUTION AND ECOTOXICOLOGY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832 | 전공 | 반도체형방사선검출기제작 | FABRICATION OF SEMICONDUCTOR-BASED RADIATION DETECTOR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531 | 전공 | 방사선검출기의원리와실재1 | OPERATION PRINCIPLES AND REALITY OF RADIATION DETECTOR I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831 | 전공 | 방사선검출기의원리와실재2 | OPERATION PRINCIPLES AND REALITY OF RADIATION DETECTOR II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532 | 전공 | 방사선검출기의회로설계 | ELECTRONIC CIRCUITS FOR RADIATION DETECTOR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513 | 전공 | 방사선영향평가 | RADIATION IMPACT ASSESSMENT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923 | 전공 | 방사선의과학세미나 | RADIOMEDICAL SCIENCE SEMINAR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919 | 전공 | 백신학특론 | SPECIAL TOPICS IN VACCINOLOGY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516 | 전공 | 보건과학과고급기계학습:이론과응용 | HEALTH SCIENCE AND ADVANCED MACHINE LEARNING : THEORIES AND APPLICATIONS | 3 | 3 | 3 | 0 | |
HSL615 | 전공 | 분자진단학 | MOLECULAR DIAGNOSTICS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866 | 전공 | 산업보건특론 | ADVANCED INDUSTRIAL HEALTH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863 | 전공 | 산업환경유해관리 |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AZARDS MANAGEMENT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914 | 전공 | 생화학특론 | SPECIAL TOPICS IN BIOCHEMISTRY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562 | 전공 | 생활환경보건기술 | ENVIRONMENTAL HEALTH TECHNIQUE OF INDOOR AIR IN LIFE ENVIRONMENT | 3 | 3 | 3 | 0 | 미세먼지관리 |
HSL861 | 전공 | 수질관리특론 | ADVANCED WATER MANAGEMENT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821 | 전공 | 신호검출회로 | CIRCUITS FOR SIGNAL DETECTION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872 | 전공 | 안전및독성평가 | SAFETY AND TOXICITY ASSESSMENT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554 | 전공 | 에어로졸기술 | EAEROSOL TECHNOLOGY | 3 | 3 | 3 | 0 | 미세먼지관리 |
HSL812 | 전공 | 영상품질과피폭선량 | IMAGE QUALITY AND EXPOSURE DOSE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915 | 전공 | 유세포분석학 | FLOWCYTOMETRY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617 | 전공 | 응용검사과학 | APPLIED LABORATORY SCIENCE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521 | 전공 | 응용계측학I | APPLIED MEASUREMENT I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522 | 전공 | 응용계측학II | APPLIED MEASUREMENT II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822 | 전공 | 응용디지털회로 | APPLIED DIGITAL CIRCUIT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911 | 전공 | 의과학연구방법론 | BIOMEDICAL RESEARCH METHODOLOGY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534 | 전공 | 의료영상과인공지능 | ARTIFICIAL INTELLIGENCE IN MEDICAL IMAGING | 3 | 3 | 3 | 0 | |
HSL816 | 전공 | 의료영상시스템 | MEDICAL IMAGING SYSTEM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616 | 전공 | 임상검사과학세미나 | SEMINAR IN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619 | 전공 | 임상검사의학연구및응용 | RESAERCH & APPLICATION OF CLINICAL LABORATORY MEDICINE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618 | 전공 | 임상생리학특론 | SPECIAL TOPICS IN CLINICAL PHYSIOLOGY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614 | 전공 | 임상생화학특론 | SPECIAL TOPICS IN CLINICAL BIOCHEMISTRY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811 | 전공 | 임상진단방사선학 | RADIOLOGIC SCIENCE FOR CLINICAL DIAGNOSIS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815 | 전공 | 임상핵의학 | CLINICAL NUCLEAR MEDICINE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611 | 전공 | 임상화학특론 | SPECIAL TOPICS IN CLINICAL CHEMISTRY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551 | 전공 | 자료처리방법 | PRINCIPLES OF DATA ANALYSIS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916 | 전공 | 줄기세포학 | STEM CELL BIOLOGY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553 | 전공 | 지구환경과건강 | HEALTH & GLOBAL ENVIRONMENT | 3 | 3 | 3 | 0 | 미세먼지관리 |
HSL512 | 전공 | 진단방사선원론 | PRINCIPLES OF DIAGNOSTIC RADIATION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917 | 전공 | 진단의과학특론 | SPECIAL TOPICS IN LABORATORY SCIENCE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813 | 전공 | 진료방사선설비 | DIAGNOSTIC INSTRUMENTATION IN RADIOGAPH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921 | 전공 | 천연물임상화학 | NATURAL RESOURCES AND CLINICAL CHEMISTRY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711 | 전공 | 캡스톤디자인1 | CAPSTONE DESIGN 1 | 3 | 3 | 0 | 3 | 미세먼지관리 |
HSL712 | 전공 | 캡스톤디자인2 | CAPSTONE DESIGN 2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612 | 전공 | 혈액학특론 | SPECIAL TOPICS IN HEMATOLOGY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514 | 전공 | 화상정보학 | IMAGE INFORMATION SCIENCE OF MEDICINE | 3 | 3 | 3 | 0 | 방사선의과학전공 |
HSL613 | 전공 | 환경미생물학특론 | SPECIAL TOPICS IN ENVIRONMENTAL MICROBIOLOGY | 3 | 3 | 3 | 0 | 임상검사과학전공 |
HSL571 | 전공 | 환경보건과에너지 | ENVIRONMENTAL HEALTH AND ENERGY | 3 | 3 | 3 | 0 | 미세먼지관리 |
HSL547 | 전공 | 환경보건기술개론 | INTRODUCTION TO ENVIRONMENTAL HEALTH TECHNOLOGY | 3 | 3 | 3 | 0 | 미세먼지관리 |
HSL561 | 전공 | 환경보건독성학 | ENVIRONMENTAL HEALTH TOXICOLOGY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565 | 전공 | 환경보건안전연구방법론I | RESEARCH METHODS IN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I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862 | 전공 | 환경보건안전연구방법론II | RESEARCH METHODS IN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II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543 | 전공 | 환경보건안전학세미나Ⅰ |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SEMINAR I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842 | 전공 | 환경보건안전학세미나Ⅱ |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SEMINARⅡ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555 | 전공 | 환경보건안전학특론I | ADVANCED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I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576 | 전공 | 환경보건안전학특론II | ADVANCED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II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572 | 전공 | 환경보건위험성평가 | ENVIRONMENTAL HEALTH RISK ASSESSMENT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563 | 전공 | 환경분석방법과노출평가 | ENVIRONMENTAL ANALYSIS METHODS & EXPOSURE ASSESSMENT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544 | 전공 | 환경위해성평가방법 | PRINCIPLES OF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851 | 전공 | 환경화학특론 | ADVANCED ENVIRONMENTAL CHEMISTRY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881 | 전공 | 환경역학 | ENVIRONMENTAL EPIDEMIOLOGY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HSL882 | 전공 | 환경보건데이터분석 | ENVIRONMENTAL HEALTH DATA ANALYSIS | 3 | 3 | 3 | 0 | 환경보건안전전공 |

헬스케어사이언스학과
-
위치하나과학관 B동 153호 보건과학대학 행정팀
-
TEL02)3290-5600
학과소개
헬스케어사이언스학과는 우리 사회 건강문제의 개인적, 사회적, 환경적 원인과 ‘4차 산업 혁명’으로 대변되는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통하여 국내외 보건정책과 건강증진 사업을 기획하고, 실행, 관리하며, 그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는 역량을 가진 경쟁력 있는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헬스케어사이언스학과 관련된 다양한 인접 학문 분야의 이론과 실무를 두루 섭렵하는 한편, 이를 결합하여 당면한 보건문제 해결을 위한 통합적 전략을 구축하고 새로운 이론을 발전시켜나갈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
학과전공분야
- 보건법경제정책전공 Major in Health Law, Economics, and Policy
- 보건의료산업전공 Major in Healthcare Industry
- 디지털보건통계전공 Major in Digital Health Statistics
학과주임 인사말
모든 사람이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는 우리 모두의 꿈입니다. 한 사람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의료서비스와 건강 행위가 필수적이지만, 개인적 차원의 요인과 더불어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이 건강 수준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교육 수준, 소득 수준, 정책, 지역 거주환경 등의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은 만성질환을 비롯한 건강문제에 더 취약한 사람들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소위 ‘양극화’로 표현되는 우리 사회의 불평등은 건강불평등 문제를 동반하면서 사회 전체에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21세기에도 코로나-19와 같이 현대 의료체계를 무력화시키는 전염병이 전세계적으로 창궐하는 사태를 겪으며, 국내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취약계층의 건강 사각지대가 가져오는 문제를 해결해나가지 못한다면 우리 모두가 안전할 수 없다는 사실이 입증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아 보건산업의 영역을 규정하는 경계가 급속도로 허물어지고 있으며, 급격히 팽창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식과 현장을 연결하고, 실시간으로 개인과 지역에 필요한 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증진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기술혁신의 성과를 활용하여 국민 건강수준을 향상하고, 건강 취약계층의 불평등을 해소하는 동시에 질병의 예방 및 치료의 질적 향상을 제고하며, 보건의료 서비스 비용 절감 등 핵심적인 당면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서 상응하는 헬스케어 사이언스의 패러다임 변화가 요구됩니다.
헬스케어사이언스학과는 급변하는 시대 상황에 부합하는 문제 해결 중심의 사회과학적 접근으로 건강불평등을 해소하고 국민건강을 효과적으로 증진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하여 학과 교수진은 보건법경제정책전공, 보건의료산업전공 및 디지털보건통계전공을 설치하고 세계를 선도하는 다학제 융합 연구와 교육을 통하여 새 시대 보건의료의 장을 활짝 열어젖힐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겠습니다.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헬스케어사이언스학과 학과주임
대학원 현황(2024-1학기 기준)
<헬스케어사이언스학과 재학생>
- 박사 :
- 석사 : 1명
- 석박통합 :
<헬스케어사이언스학과 교수진>
- 전임교수 : 7명
- 객원 :
- 명예교수 :
<수료요건>- 내규 참고
- 석사 : 전공 - 15 학점 / 연구지도 - 8학점 / 수료학점 - 24학점 (전공 포함)
- 박사 : 전공 - 20 학점 / 연구지도 - 8학점 / 수료학점 - 30학점 (전공 포함)
- 석박통합 : 전공 - 27학점 / 연구지도 - 16(12)학점 / 수료학점 - 48학점 (전공 포함)
<종합시험>
-
(1). 지도교수가 지정하고 학과주임의 승인을 얻어 종합시험의 과목을 정하며 그 수는 다음과 같다.
- - 석사 : 전공과목 중 2과목
- - 박사 : 전공과목 중 4과목
- (2). 종합시험 불합격자는 다음 학기에 과락한 과목에 대한 재시험을 시행한다.
- (3). 종합시험 신청 과목은 전임교원이 개설한 과목에 한다.(단, 경과조치로 이 내규의 시행은 2025년 9월 1일자부터 시행한다.)
<학위논문 제출자격>
- 석사과정 :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 이상에 1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하거나 학술대회에 제 1저자로 1회 이상 구두 혹은 포스터 발표.
-
박사과정 및 석박사통합과정
- - 자연계열 전공 : SCI급 국제저명학술지에 2편 이상 또는 해당분야 상위 10% 저널에 1편 이상의 논문을 주저자로 게재 (단, 게재예정 논문도 인정한다.)
- - 사회계열전공 :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 이상에 2편 이상 또는 SSCI급 1편 이상의 논문을 주저자로 게재하고 예비발표에 합격 (단, 게재예정 논문도 인정한다.)
<졸업요건>
- [ 수료학점, 외국어, 인권과 성평등, 연구윤리, 종합시험 ] 충족시 졸업
<외국어 면제 및 대체어학강좌 관련 안내>
졸업요건
수료학점, 외국어, 종합시험, 인권과 성평등, 연구윤리, 학위청구논문 충족시 졸업 가능
1. 수료학점 * 수료학점과 연구지도 학점은 별개
- 석사 : 24학점 중 전공이수학점 15학점, 연구지도 8학점
- 박사 : 30학점 중 전공이수학점 20학점, 연구지도 8학점
- 석박통합 : 48학점 중 전공이수학점 27학점, 연구지도 16(12)학점
*조기수료시 연구지도학점 12, 14학점만 충족하여도 수료 가능
*석박통합과정 기준을 충족한 자는 1년의 범위 내에서 수업연한 단축 가능
단, 통합과정 수학기간 전체의 평점평균이 4.0 이상인 자
2. 외국어

정밀보건과학융합전공
-
위치하나과학관 B동 153호 보건과학대학 행정팀
-
TEL02)3290-5600
학과소개
보건과학이 직면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교육과 연구의 포괄적인 이해와 혁신적인 해결방안이 필요합니다. 최근 발전하고 있는 맞춤 의료기술은, 유전자를 포함한 `-omics' 데이터, 개인 중심의 질병 진단과 치료에 한정되어 인구집단 수준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보건과학과 의공학기술, 그리고 데이터사이언스를 기반으로 한 정밀보건과학은 인구집단의 질병부담을 절감하는 기술 개발 및 접근성 보완, 질병 예방에 초점을 맞춘 전생애주기적 건강 관리, 건강수명증진과 건강격차해소를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하여 고려대학교 정밀보건과학융합전공은 창의와 융합, 문제해결능력의 역량 함양을 통해 인구집단의 건강문제를 해결하는 ‘세계 최초의 정밀보건과학 인재양성 교육모델’을 제시하였습니다.
학과주임 인사말
평균 기대수명 증가와 출산율 감소로 인해 국제사회는 인류 역사상 유례가 없는 고령화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2017년 한국은 65세 이상 고령인구 구성비가 14%를 넘어 고령사회로 이미 진입했고 통계청은 2067년에는 고령인구 구성비가 46.5%로 세계에서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인구 고령화와 함께 이에 수반되어 발생하는 여러 사회문제들의 중요성을 고려했을 때, `건강한 노령화 (successful aging or healthy aging)'이라는 중요한 시대적 과제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적, 연구적 전략이 필요합니다. 고려대학교 정밀보건과학융합전공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 개인 수준의 건강한 노령화 뿐 아니라, 인구집단 수준에도 적용 가능한 공학, 이학, 데이터사이언스 기반의 정밀보건과학을 교육하고 융합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고려대학교 정밀보건과학융합전공과 함께 고령화 및 이에 따른 건강격차 문제가 현실화되기 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국가와 세계에 기여할 수 있는 혁신적, 도전적 인재로 성장하시기를 바랍니다.
정밀보건과학융합전공 주임교수

러닝헬스시스템융합전공
-
위치하나과학관 B동 153호 보건과학대학 행정팀
-
TEL02)3290-5600
학과소개
러닝헬스시스템(Learning Health System), 혹은 학습기반헬스시스템은 지식생성과정이 일상 업무에 내재되어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보건의료시스템으로서, 보건의료시스템이 최선의 근거를 기반으로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의료를 제공하고, 예방과 건강증진을 강조하며 최고의 가치를 제공하고 보건의료과정에서 학습하여 국가의 건강수준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패러다임이다.
본 융합전공에서는 이러한 러닝헬스시스템의 정의를 확장하고 건강형평성의 가치를 중심으로 하여 보건의료조직을 넘어 국가와 국제보건적 차원에서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적 맥락에 근거한 건강시스템을 학습기반으로 조직하고 구성, 운영,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역량을 학생들에게 배양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4차산업혁명으로 요약되는 데이터혁명의 결실을 보건학과 결합하여 건강불형평성의 구조와 양식을 찾아내고 취약한 공동체와 그 내의 인구집단에 맞춤형 헬스케어를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진화하는 모두를 위한 헬스케어를 구성할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 인재를 배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참여학과
- 보건과학과
- 보건안전융합과학과
- 의생명융합과학과
- 헬스케어사이언스학과
- 보건학협동과정
- 의학통계협동과정
- 의학과
- 간호학과
학과주임 인사말
2020년 상반기부터 현재까지 우리는 COVID-19과 함께 생활하고 있습니다. 한국 사회는 COVID-19의 확산을 성공적으로 막아냈고, 드라이브 스루 검사 시스템, 진단키트 등 방역시스템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원래 없었던 보건의료서비스와 체계가 COVID-19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이 만들어지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을 지켜봤습니다. 대응 결과가 데이터화되고 그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대응을 끊임없이 변화시켜 진화해나가는 것, 그것이 바로 잘 작동하는 러닝헬스시스템(Learning Health System) 입니다.
러닝헬스시스템은 학습 기반의 보건의료체계로서 지식생성과정이 일상 업무에 내재 되어 있어 자발적이고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보건의료체계입니다. 미국 Institute of Medicine이 제시한 러닝헬스시스템의 패러다임은 ‘보건의료시스템이 최선의 근거를 기반으로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의료와 최고의 가치를 제공하고, 예방과 건강증진을 강조하며, 보건의료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습을 통하여 국가의 건강 수준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우리는 러닝헬스시스템과 함께 인간의 건강이 만들어지는 사회적 환경에 좀 더 주목하고자 합니다. 바이러스에 대한 성공적 대응이 보건학의 관점에서 성공적 대응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영업제한으로 인한 영세 자영업자의 빈곤화, 밀집되어 근무하는 콜센터‧택배물류센터 근로자의 코로나 감염, 급격히 증가한 청년 실업, 20대 여성의 자살 증가는 예측하지 못한 사회적 위험입니다. 건강 불평등은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이 대부분을 결정하며, 그 영향은 유전체를 변화시키는 수준에까지 이릅니다. COVID-19 팬데믹의 종식이 아니라 다양한 인구집단에 대한 팬데믹의 불균등한 영향을 이해하고, 이들이 원래의 삶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돌보는 것까지가 보건학적이고 사회적인 의미에서의 성공적 대응이 될 것입니다.
이를 위하여 러닝헬스시스템 융합 전공은 보건학, 간호학, 의학 간 융합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사회 주민과 함께 하는 공익적 RD&D의 장으로서 통합적 건강돌봄의 리빙랩을 중심으로 연구와 교육, 산학협력의 선순환을 꾀함으로써 모든 이의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위한 희망(L-HOPE: Learning-Healthcare Of the Public for Equity)이 되고자 합니다.
러닝헬스시스템융합전공 주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