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연구
BK21 사업단

정밀보건과학 교육연구단
-
홈페이지https://pph.korea.ac.kr/
-
위치하나과학관 B동 167호
-
TEL02)3290-5624
교육연구단 소개
고령화사회 진입으로 인한 사회문제
한국은 2017년 현재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전체인구의 14%를 넘어감에 따라 고령사회에 진입하였다, 고령사회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사회문제는 만성질환 증가에 따른 질병부담의 증가, 노령인구집단에서의 정신건강과 정서적 소외감, 기대수명과 질병이 없는 건강수명 간 격차의 증가, 의료자원의 접근성에 따른 건강격차의 증가 등이 있다. 이러한 사회문제들을 고려하였을 때 건강한 노령화 (Successful aging or Healthy aging)는 현 시대의 중요한 과제이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적 전략이 필요하다.
고령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개인맞춤 의료기술 발전의 한계
현재 의료기술은 임상정보등의 빅데이터와 데이터 사이언스의 진보를 통해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와 같은 개인 맞춤 의료기술이 고도화되었으나, 고령화 사회문제 해결하는데 있어 여러 한계점을 내보이고 있다. 첫째, 현재의 의료기술은 환경적요인이 질병발생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는 많은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유전자 등의 -omics나 임상정보 등 개인환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둘째, 현재 정밀의료는 개인의 질병에 치료에 집중되어 있어 질병 예방의 영역이 도외시되어 있다. 셋째, 기술적 혁신에 따른 의료기술은 이에 접근가능한 자원을 가진 특정 계층에만 집중되어 건강격차를 심화 시킨다.
정밀보건과학: 정밀보건과학과 과학기술의 만남을 통한 고령화 사회문제 해결
현재 의료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고령화 사회문제를 해결하여 ‘건강한 노령화’의 달성을 위해서는 의생명과학, 의공학기술 및 데이터 사이언스의 ‘과학기술’ 분야와, 인구집단의 건강증진 및 건강격차를 줄이는 ‘보건과학’ 분야의 각 장점을 극대화시키는 융합연구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3P (Pression, Prevention, Population) 기반의 정밀보건과학(Precision Public Health)으로, 집단별 최적의 예방적 개입을 통해 인구집단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목표가 있다.
본 교육연구단은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적 흐름과 발맞춰, 4차 산업혁명의 특징들을 보건학과 융합시킴으로써 전세계적으로 모든 국가들이 현재 미흡하게 대비하고 있는 고령화 사회문제들에 적용하고 정밀보건과학 교육/연구 분야를 개척하고자 한다.
Beyond the Uncertainty Principle, 고려대학교 정밀보건과학 융합연구 및 인재양성 프로그램
1927년 발표된 Heisenberg의 불확실성 원리 (Uncertainty Principle)는 하나의 가치를 높일 때 다른 가치는 희생될 수밖에 없다는 원리로, 현재 개인의 disparity가 감소될수록 인구집단의 disparity가 증가되는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의 한계와 같다. 이에 본 교육연구단은 두 가지 난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과학기술을 선도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식을 축적하는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고자 정밀보건과학 교육연구단을 구성하였다.
보건과학이라는 학문은 인구집단의 건강증진을 위한 전방위적 연구를 포함하는 융복합 학문임에도 아직까지 공학이 보건과학의 학제에 정식으로 포함된 교육단위는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교육연구단에서는 보건과학대학 산하의 4개 학부와 (바이오의공학부,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보건환경융합과학부, 보건정책관리학부) 인공지능 학과 및 글로벌헬스 협동과정의 총 6개학과를 아우르는 초학제적 교육단위인 정밀보건과학 융합전공을 신설하였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정밀보건과학을 실현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선도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정밀보건과학 교육 및 연구분야의 개척자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업 비전 및 목표
고령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정밀성을 기반으로 한 기술 혁신과 형평성을 기반으로 한 보건의제를 융합하여 ‘모두가 건강한 사회’로 나아감을 함축한다. 이에 본 교육연구단은 고령화 사회문제라는 글로벌 이슈를 과학기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정밀보건과학 전문가를 양성하고, 이를 통해 모두가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비전을 선포하였다.

따뜻한 기술이 세상을 바꾸는 순간
정밀보건과학, 2030년 Global Top 10 연구분야 중 하나로 도약
초학제적 파이형 융합인재 양성
혁신적 진보, 정밀보건과학
글로벌 Πoneer
- 지식정보시대 폴리스페셜리스트 양성을 위한 파이형 인재 교육
- 대형 초학제 프로그램을 통한 학생 맞춤형 융합 교육
- 미래산업 선도를 위한 사회문제 수요 기반 혁신 교육
- 선순환적 정밀보건과학 교육 - 연구 생태계 구축
- 학문분야간 분절을 극복한 초학제 융복합 연구 기반 구축
- 인구집단 건강수명 향상에 기여할 획기적 연구 성과 창출
- 연구결과의 실용화를 통한 보건산업 부가가치 확대
- 세계 초일류 연구역량을 갖춘 교육연구단으로 도약
- 세계 최초 정밀보건과학 교육 인프라 구축, 글로벌 스탠다드 주도
- 국제 학술 교류를 통한 세계적 수준의 글로벌 인재 육성
- 국제연구클러스터 구축과 공동연구 확대로 세계적 연구성과 도출
- 국제보건기구와의 협력을 통한 정밀보건사업 실질 문제 해결

러닝헬스시스템 교육연구단
-
홈페이지https://health.korea.edu/
-
위치하나과학관 B동 664호
-
TEL02)3290-5621, 5629
교육연구단 소개
- 맞춤형 헬스케어를 위해서는 유전·생물학적 요인 중심의 생의학적 패러다임을 넘어 실제 삶과 그 삶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물리적 환경에 주목해야 함
- 단순한 건강증진과 치료의 개념이 아닌 개인(환자)을 중심으로 그들이 속해 있는 공간과 공동체의 다양한 생활환경을 고려하고 이를 데이터화, 통합, 공유하여 맞춤형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인력 양성이 필요함
- 러닝헬스시스템(Learning Health Systems, LHS) 학습 기반 건강체계
- 지식생성과정이 일상 업무에 내재되어 있어서 자발적이고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보건의료시스템으로 학습 기반 건강 사이클(러닝헬스사이클, Learning Health Cycle)을 중심으로 함
(D2K)
(K2P)
(P2D)
Learning Health Cycle
러닝헬스사이클(Learning Health Cycle)은 데이터 기반 지식 생성(D2K), 지식에서 실행(K2P), 실행을 통한 데이터 확보(P2D)의 3단계를 형성하며 의학, 보건학, 인문사회, 자연과학 및 공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포함하는 융복합적 성격을 지니고 있음
지식(D2K)
데이터에서 지식으로(Data to Knowledge)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지식으로 가공하는 과정
실행(K2P)
지식에서 현장으로(Knowledge to Practice)
지식을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
데이터(P2D)
현장에서 데이터로(Practice to Data)
지식의 적용을 통해 개선된 성과를 다시 데이터로 축적하는 과정
교육연구단 비전, 미션 및 목표
“L-HOPE 희망을 배우다”
건강공간 기반의 러닝헬스시스템
융복합적 미래역량을 지닌 러닝헬스시스템 인력 양성
러닝헬스사이클을 통해 진화하는 세계적 수준의 초학제적 연구
러닝헬스시스템 기반 맞춤형 헬스케어 글로벌 리더 양성
러닝헬스시스템 작동 기반 수요자 중심의 산학협력 생태계 구축
지식(D2K)
실행(K2P)
데이터(P2D)
융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학습자 중심 교육
문제해결형 인재양성을 위한 현장 중심 교육
세계적 수준의 교육과정 및 학사관리 구축
융복합 연계 기반 다차원적 문제 접근
리빙랩 기반 현장 중심의 솔루션
데이터 기반 글로벌 표준 프레임워크
글로벌 융복합 협력 강화
글로벌 다양성 이해와 수용
러닝헬스시스템 국제공동교육 및 연구 허브 구축
통합형·개방형 산학 플랫폼 구성
현장지향형·공익지향형 개발
데이터 기반 융복합 산학솔루션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