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ow

학부

보건환경융합과학부

학부소개 이미지
학부소개

모두들 ‘웰빙’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알거나 많은 음식에 붙어있는 LOHAS(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마크를 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이 모든 것은 지속적인 건강을 중시하는 생활 양식의 변화에 따라 생겨난 것입니다. 또한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에 의해 방출된 방사성 물질에 의한 건강에 대한 불안이 증가, 방사선에 대한 기초지식 및 건강영향, 환경 방사선 모니터링과 같이 정확한 정보를 제때에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건강과 환경을 중시하는 사회가 다가올 것이고 이러한 미래를 준비하는 곳은 바로 보건환경융합과학부입니다. 단순하게 ‘환경을 개선하여 인류를 지키자’의 개념이 아니라 실제 앞으로 인류의 건강을 환경과 관계하여 해결하기 위한 산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생각을 하면 됩니다.

가까운 미래에 우리나라에서도 보건 - 환경기술 및 보건관련산 업이 21세기의 주도적인 산업이 될 전망이며,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많은 기업들은 인류의 건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고, 이를 준비하는 길이 바로 보건환경융합과학부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보건환경융학과학부는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에서 사람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요소를 관리, 연구하고 환경으로 인한 질환과 위험을 사전에 감시, 예방하기 위한 보건 및 환경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건강을 위협받는 국민을 최소화하며 더 나아가 건강권을 확보하여 미래 환경복지 국가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보건 환경
융합
환경
보건

위해요인 규명을 통한 질병 감시 및 예방

환경오염물질, 방사선물질 등으로 인한 매체오염

red_arrow

수용체에서 건강영향 및 질환발생

blue_arrow

매체

수용체

환경오염물질

화학물질

방사성물질

arrow

환경매체

대기

토양

식품

노출 및
건강영향평가

arrow

환경개선

사람
생태계

질병감시
초기경보

arrow

각종질환

건강영향

생태독성

arrow
건강한 삶

매체환경정책

arrow

보건환경정책

arrow

의료정책

교육목표

Advancing toward a Healthier, Sustainable Society

고려대학교 보건환경융합과학부는 보건과 환경 분야의 융합적 교육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의 다양한 보건환경 문제를 창의적이고 유연하게 해결할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보건, 환경 느낌 일러스트
융합성icon

융합성

  • 다학문적 융합 교육
  • 보건과 환경 문제의 통합적 접근
실천성icon

실천성

  • 현장 실습 중심 교육
  • 실무와 학문의 유기적 연결
글로벌역량icon

글로벌 역량

  • 국제적 시각과 리더십 강화
  • 건강 및 환경 문제 해결 능력 배양
지속가능성icon

지속 가능성

  • 환경과 건강의 지속 가능성 강조
  • 사회적 책임과 가치 창출 교육
세부전공

환경보건안전

  • 직업 보건 및 안전
  • 독성 및 위해도 평가
  • 방사선검출 및 선량평가
  • 첨단 방사선 소자 개발
  • 환경기술 개발

진단과학

  • 분자진단 및 미생물
  • 건강영향평가
arrow
arrow

방사선안전

환경보건

진단의과학

건강영향평가

산업안전

원자력

직업보건

보건환경
융합과학부

졸업 후 진로

고려대학교 보건환경융합과학부에서 융합 교육을 이수한 인재들은 산업계, 교육기관, 공공기관, 병원, 연구소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학계 보건과 환경 관련 분야의 교수, 전문가
공무원 환경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각 시도 공무원
공기업 한국환경공단, 한국산업안전공단,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방사선폐기물관리공단,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공립연구소 국립환경과학원, 시도보건환경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원자력연구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기업계 의약, 화장품, 식품, 건강, 의료영상기기, 보건안전환경(HSE), 관련 회사, 반도체, 제조업 등의 유해화학물질의 지속적 관리가 필요한 대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