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보건환경융합과학부

-
홈페이지https://hes.korea.ac.kr/
-
위치하나과학관 B동 153호 보건과학대학 행정팀
-
TEL02)3290-5600
학부소개
모두들 ‘웰빙’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알거나 많은 음식에 붙어있는 LOHAS(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마크를 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이 모든 것은 지속적인 건강을 중시하는 생활 양식의 변화에 따라 생겨난 것입니다. 또한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에 의해 방출된 방사성 물질에 의한 건강에 대한 불안이 증가, 방사선에 대한 기초지식 및 건강영향, 환경 방사선 모니터링과 같이 정확한 정보를 제때에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건강과 환경을 중시하는 사회가 다가올 것이고 이러한 미래를 준비하는 곳은 바로 보건환경융합과학부입니다. 단순하게 ‘환경을 개선하여 인류를 지키자’의 개념이 아니라 실제 앞으로 인류의 건강을 환경과 관계하여 해결하기 위한 산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생각을 하면 됩니다.
가까운 미래에 우리나라에서도 보건 - 환경기술 및 보건관련산 업이 21세기의 주도적인 산업이 될 전망이며,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많은 기업들은 인류의 건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고, 이를 준비하는 길이 바로 보건환경융합과학부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보건환경융학과학부는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에서 사람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요소를 관리, 연구하고 환경으로 인한 질환과 위험을 사전에 감시, 예방하기 위한 보건 및 환경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건강을 위협받는 국민을 최소화하며 더 나아가 건강권을 확보하여 미래 환경복지 국가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융합
위해요인 규명을 통한 질병 감시 및 예방
환경오염물질, 방사선물질 등으로 인한 매체오염

수용체에서 건강영향 및 질환발생

매체
수용체
환경오염물질
화학물질
방사성물질

환경매체
대기
물
토양
식품
노출 및
건강영향평가

환경개선
생태계
질병감시
초기경보

각종질환
건강영향
생태독성

매체환경정책

보건환경정책

의료정책
교육목표
Advancing toward a Healthier, Sustainable Society
고려대학교 보건환경융합과학부는 보건과 환경 분야의 융합적 교육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의 다양한 보건환경 문제를 창의적이고 유연하게 해결할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융합성
- 다학문적 융합 교육
- 보건과 환경 문제의 통합적 접근

실천성
- 현장 실습 중심 교육
- 실무와 학문의 유기적 연결

글로벌 역량
- 국제적 시각과 리더십 강화
- 건강 및 환경 문제 해결 능력 배양

지속 가능성
- 환경과 건강의 지속 가능성 강조
- 사회적 책임과 가치 창출 교육
세부전공
환경보건안전
- 직업 보건 및 안전
- 독성 및 위해도 평가
- 방사선검출 및 선량평가
- 첨단 방사선 소자 개발
- 환경기술 개발
진단과학
- 분자진단 및 미생물
- 건강영향평가


방사선안전
환경보건
진단의과학
건강영향평가
산업안전
원자력
직업보건
보건환경
융합과학부
졸업 후 진로
고려대학교 보건환경융합과학부에서 융합 교육을 이수한 인재들은 산업계, 교육기관, 공공기관, 병원, 연구소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학계 | 보건과 환경 관련 분야의 교수, 전문가 |
---|---|
공무원 | 환경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각 시도 공무원 |
공기업 | 한국환경공단, 한국산업안전공단,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방사선폐기물관리공단,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원자력의학원 |
국·공립연구소 | 국립환경과학원, 시도보건환경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원자력연구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기업계 | 의약, 화장품, 식품, 건강, 의료영상기기, 보건안전환경(HSE), 관련 회사, 반도체, 제조업 등의 유해화학물질의 지속적 관리가 필요한 대기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