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마이크로디그리
근거기반 보건정책
1명칭 및 참여학과 현황
마이크로디그리 명칭 |
국문명 | 근거기반 보건정책 |
---|---|---|
영문명 | Evidence-based health policy | |
학과(부) 명 | 주관 | 보건정책관리학부 |
참여 | - |
2개설 목적 및 필요성
본 마이크로디그리는 공중보건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정책학,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 등에서 바라본 보건정책에 대한 접근을 융합하여 현장 중심의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보건정책의 기획, 실행, 평가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3교육과정 운영 계획
- 보건의료시스템과 보건정책에 대한 기본적 개념을 이해한다.
- 보건정책에 접근하는 다른 다양한 방식과 그 방법론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다.
- 보건프로그램과 정책을 과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기획, 실행, 분석 및 평가할 수 있다.
보건의료시스템과 보건정책
- 의료보장론
- 보건정책학
- 보건산업론
보건정책의 다양한 방법론
- 보건경제학
- 보건정책변동론
- 보건학조사 및 연구방법
보건정책의 과학적 분석과 평가
- 보건프로그램계획 및 평가
- 보건정책분석평가
구분 |
전공 (A) |
교양 (B) |
계 (C=A+B) |
비중 (E=C/D) |
||
---|---|---|---|---|---|---|
편성학점 | 본교 | 보건정책관리학부 | 24 | 0 | 24 | 2.0 |
타 대학 | - | 0 | 0 | 0 | 0.0 | |
편성학점 총 계 | 24 | 0 | 24 | 2.0 | ||
이수학점 | 본교 | 12 | 1.0 | |||
타 대학 | 0 | 0.0 | ||||
이수학점 총 계(D) | 12 |
개설학과(부)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이수구분 | 학점 | 이수권장 | 비고 | |
---|---|---|---|---|---|---|---|
학년 | 학기 | ||||||
보건정책관리학부 | KHPM208 | 의료보장론 | 전공선택 | 3 | 2 | 2 | |
보건정책관리학부 | KHPM309 | 보건경제학 | 전공선택 | 3 | 3 | 1 | |
보건정책관리학부 | KHPM327 | 보건정책학 | 전공선택 | 3 | 3 | 1 | |
보건정책관리학부 | KHPM304 | 보건정책변동론 | 전공선택 | 3 | 3 | 2 | |
보건정책관리학부 | KHPM302 | 보건학조사및연구방법 | 전공선택 | 3 | 3 | 2 | |
보건정책관리학부 | KHPM417 | 보건산업론 | 전공선택 | 3 | 4 | 1 | |
보건정책관리학부 | KHPM421 | 보건프로그램계획및평가 | 전공선택 | 3 | 4 | 1 | |
보건정책관리학부 | KHPM423 | 보건정책분석평가 | 전공선택 | 3 | 4 | 1 | |
편성학점 총 계 | 24 |
4이수인정 조건
5학생 수요(예측) 및 마이크로디그리 전망
- 사회의 발전에 따른 양극화와 인구의 고령화가 지속되면서 보건정책분야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임. 이에 따라 정책 현장에서 만들어진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정책을 기획, 실행,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에 대한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함.
- 용이한 접근성: 본 마이크로디그리는 단계적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으며 편성된 8과목 중 4과목만 이수하면 최소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으므로, 전문적 정책 분석에는 관심이 없으나 보건정책과 보건의료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 학생들 또한 이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
- 보건의료 전공자: 본 마이크로디그리는 일차적으로 본 학부에 재학 중인 학부생들의 전문성을 함양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나, 이차적으로는 미래 보건의료 전문직을 자기 정체성으로 하고 있는 학부생들(보건과학대, 간호대 등)과 정책 분야 전공 학생 중 보건정책분야로 자기 전망을 확장하고자 하는 학부생들에게도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함.
- 사회과학 전공자: 또한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등의 다양한 학제를 융복합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므로, 해당 분야 전공 학생들 또한 본 마이크로디그리의 수혜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함.
보건데이터과학
1명칭 및 참여학과 현황
마이크로디그리 명칭 |
국문명 | 보건데이터과학 |
---|---|---|
영문명 | Health Data Science | |
학과(부) 명 | 주관 | 보건정책관리학부 |
참여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바이오의공학부 |
2개설 목적 및 필요성
최근 4차 산업혁명의 발전과 함께 데이터과학의 중요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음.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대한 데이터과학의 접목 필요성 또한 함께 증가하고 있음. 보건과학대학은 ‘건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과 이학, 공학적 접근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는 융복합 단과대학으로서 모든 분야에서 데이터과학을 도구로 사용하고 있음.
본 과정은 통계학과 데이터과학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기반으로 이를 ‘건강’의 각 분야에 접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건과학대학 내 3개 학부가 함께 운영할 예정임
3교육과정 운영 계획
- 보건과학적 바탕 위에서 데이터과학과 통계학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이해한다.
- 코딩과 프로그래밍 능력을 함양한다.
- 사회과학, 이학, 공학의 각 분야에 데이터과학을 적용할 수 있다.
보건통계학 이해
- 보건통계학개론
- 생물통계학
- 중급보건통계학
코딩·프로그래밍 습득
- 보건데이터분석R기초
- 보건데이터코딩파이선기초
- 보건데이터베이스
보건데이터과학 응용
- 인체정보학
- 메디컬인공지능
- 보건의료데이터사이언스
구분 |
전공 (A) |
교양 (B) |
계 (C=A+B) |
비중 (E=C/D) |
||
---|---|---|---|---|---|---|
편성학점 | 본교 | 보건정책관리학부 | 18 | 0 | 18 | 1.5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6 | 0 | 6 | 0.5 | ||
바이오의공학부 | 3 | 0 | 3 | 0.3 | ||
타 대학 | 0 | 0 | 0 | 0.0 | ||
편성학점 총 계 | 27 | 0 | 27 | 2.3 | ||
이수학점 | 본교 | 12 | 1.0 | |||
타 대학 | 0 | 0 | ||||
이수학점 총 계(D) | 12 |
개설학과(부)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이수구분 | 학점 | 이수권장 | 비고 | |
---|---|---|---|---|---|---|---|
학년 | 학기 | ||||||
보건정책관리학부 | KHPM203 | 보건통계학개론 | 전공선택 | 3 | 2 | 1 | 3 |
보건정책관리학부 | KHPM225 | 보건데이터분석R기초 | 전공선택 | 3 | 2 | 1 | 3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BSMS222 | 생물통계학 | 전공선택 | 3 | 2 | 2 | 3 |
보건정책관리학부 | KHPM206 | 중급보건통계학 | 전공선택 | 3 | 2 | 2 | 3 |
보건정책관리학부 | KHPM228 | 보건데이터코딩파이선기초 | 전공선택 | 3 | 2 | 2 | 3 |
보건정책관리학부 | KHPM308 | 보건데이터베이스 | 전공선택 | 3 | 3 | 2 | 3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BSMS419 | 인체정보학 | 전공선택 | 3 | 4 | 1 | 3 |
바이오의공학부 | BMED435 | 바이오메디컬인공지능Ⅰ | 전공선택 | 3 | 4 | 1 | 3 |
보건정책관리학부 | KHPM410 | 보건의료데이터사이언스 | 전공선택 | 3 | 4 | 2 | |
편성학점 총 계 | 27 |
4이수인정 조건
5학생 수요(예측) 및 마이크로디그리 전망
- 데이터과학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그 중 보건의료데이터과학에 대한 수요 또한 확대되고 있으므로 본 마이크로디그리의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음.
- 통계학과 데이터사이언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싶은 학생과, 본인의 전공분야와 접목시켜 데이터과학을 전공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측함.
정밀보건과학
1명칭 및 참여학과 현황
마이크로디그리 명칭 |
국문명 | 정밀보건과학 |
---|---|---|
영문명 | Precision public health | |
학과(부) 명 | 주관 | 바이오의공학부 |
참여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보건정책관리학부 |
2개설 목적 및 필요성
전통적인 보건 과학과 첨단 기술 간의 격차를 해소하고 정밀 의료의 복잡성을 헤쳐나갈 수 있는 차세대 융합 인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정밀보건과학(Precision Public Health) 마이크로디그리를 신설하고자 함. 본 마이크로디그리는 고령화 사회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의공학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과학 기술' 분야와 인구 집단 전체의 건강을 증진시키면서 계층에 따른 건강격차를 줄이는 `보건과학'의 각 강점을 극대화하는 융합적인 접근이 가능한 인재 양성을 위해 개설 목적으로 함.
3교육과정 운영 계획
본 교육과정은 정밀성을 기반으로 한 기술 혁신과 형평성을 기반으로 한 보건 의제를 융합하여 `모두가 건강한 사회'로 나아가는데 기여하는 정밀보건과학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교육 목표를 가짐.
- 생체신호를 중심으로 한 의공학기술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가지고 이를 활용할 수 있음.
- 비판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전문성을 공중 보건의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적용할 수 있음.
정밀의료 & 공중보건융합교육

생체 정보에 대한 디지털 기술 적용 교과목

생리학 및 분자생물학 차원의 병태 생리 이해 교과목

건강 형평성 및 정신 건강 관련 보건 의료 교과목
3P기반 정밀보건과학

Precision
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 실현을 위한 기술 개발

Prevention
질병 예방에 초점을 맞춘 전 생애주기적 건강,관리

Population
인구 집단 차원 건강증진 및 격차 해소를 위한 접근성 보완
구분 |
전공 (A) |
교양 (B) |
계 (C=A+B) |
비중 (E=C/D) |
||
---|---|---|---|---|---|---|
편성학점 | 본교 | 바이오의공학부(주관) | 18 | 0 | 18 | 1.5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3 | 0 | 3 | 0.25 | ||
보건정책관리학부 | 6 | 0 | 6 | 0.5 | ||
타 대학 | ||||||
편성학점 총 계 | 27 | 0 | 27 | 2.25 | ||
이수학점 | 본교 | 12 | 1 | |||
타 대학 | 0 | 0 | ||||
이수학점 총 계(D) | 12 |
개설학과(부)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이수구분 | 학점 | 이수권장 | 비고 | |
---|---|---|---|---|---|---|---|
학년 | 학기 | ||||||
바이오의공학부 | BMED312 | 생체정보계측 | 전공선택 | 3 | 2 | 2 | |
바이오의공학부 | BMED404 | 신경및뇌공학 | 전공선택 | 3 | 2 | 1 | |
바이오의공학부 | BMED429 | 바이오마이크로나노기기 | 전공선택 | 3 | 4 | 1 | |
바이오의공학부 | BMED336 | 바이오메디털빅데이터 | 전공선택 | 3 | 3 | 2 | |
바이오의공학부 | BMED332 | 생체정보학 | 전공선택 | 3 | 3 | 2 | |
바이오의공학부 | BMED435 | 바이오메이컬인공지능Ⅰ | 전공선택 | 3 | 4 | 1 |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BSMS404 | 분자질병역학 | 전공선택 | 3 | 3 | 1 | |
보건정책관리학부 | KHPM319 | 건강증진학 | 전공선택 | 3 | 2 | 1 | |
보건정책관리학부 | KHPM226 | 보건인구학 | 전공선택 | 3 | 2 | 1 | |
편성학점 총 계 |
4이수인정 조건
5학생 수요(예측) 및 마이크로디그리 전망
정밀 의료 산업 및 헬스 케어 기술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관련 사회 문제 또한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본 마이크로디그리의 전망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음. 헬스케어 관련 분야의 기술력을 갖추고자 하는 학생이나 기술을 구현하고 실용함에 있어 질환 및 보건 의료 체계, 정책에 대해 이해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본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측됨.
휴먼마이크로바이옴
1명칭 및 참여학과 현황
마이크로디그리 명칭 |
국문명 | 휴먼마이크로바이옴 |
---|---|---|
영문명 | Human Microbiome | |
학과(부) 명 | 주관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2개설 목적 및 필요성
휴먼마이크로바이옴은 차세대 바이오의약품으로서 촉망받는 바이오헬스 신산업 분야임. 최근 세레스테라퓨틱스 및 페링파마슈티컬스에서 클로스티리디움 디피실 감염증 치료제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을 개발하여 상용화 한 바 있고, 국내외 대형 제약 회사들이 암, 자폐증, 치매 질환 분야에 대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음. 2023년 말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기업협의회’에 가입된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전문 기업은 27개사로 이미 기존에 없던 새로운 영역의 취업 시장이 형성되어 있음. 뿐만 아니라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비롯한 유수의 제약 기업들에서도 기존의 기술력으로 채우지 못한 의학적 미충족 수요를 인체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을 통해 극복하고자 신설부서를 독립적으로 설립하였고, LG생활건강, CJ 등의 화장품이나 식품회사에서도 모두 마이크로바이옴 부서를 앞다투어 신설하고 있음. 따라서 인체마이크로바이옴 전문 인력에 대한 산업적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생각함. 그러나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산업은 최근에 등장한 탓에 학부생 수준에서 특화된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학과가 없고, 따라서 기업들에서는 일반적인 생물학 교육을 받은 인력을 채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임. 우리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휴먼마이크로바이옴’ 과목을 학부 전공과목으로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질병미생물학, 면역학, 의생명과학실험 등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필요한 필수적인 교과과정을 모두 운영하고 있음. 따라서 학생들이 이수하고 있는 기존 전공과목의 커리큘럼을 정교하게 연결하여 휴먼마이크로바이옴 마이크로디그리를 설계함으로써 향후 해당 분야의 취업과 전문인력 양성을 도모하고자 함.
3교육과정 운영 계획
휴먼마이크로바이옴 바이오의약품 분야에 필요한 전공과목들을 연계성 있게 교육함으로써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기업에 대한 학생들의 취업을 돕는 한편, 해당 학문 분야 연구개발 전문인력이 될 미래 인재를 양성하고자 함.
- 인체 · 미생물 상호작용에 대한 기초 지식 함양 - 면역학, 미생물학, 바이러스학
- 휴먼마이크로바이옴과 질병의 상관성에 대한 이해 - 세균학, 질병미생물학, 휴먼마이크로바이옴
- 바이오의약품 분석 기술의 습득 - 의생명과학실험II, 미생물병리학
인체·미생물 상호작용
- 면역학
- 미생물학
- 바이러스학
휴먼마이크로바이옴
- 세균학
- 질병미생물학
- 휴먼마이크로바이옴
바이오의약품 분석 기술
- 의생명과학실험II
- 미생물병리학
- [현장실습]
구분 |
전공 (A) |
교양 (B) |
계 (C=A+B) |
비중 (E=C/D) |
||
---|---|---|---|---|---|---|
편성학점 | 본교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주관) | 24 | 24 | 2 | |
타 대학 | ||||||
편성학점 총 계 | 24 | 24 | 2 | |||
이수학점 | 본교 | 12 | 1 | |||
타 대학 | ||||||
이수학점 총 계(D) | 12 |
개설학과(부)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이수구분 | 학점 | 이수권장 | 비고 | |
---|---|---|---|---|---|---|---|
학년 | 학기 |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BSMS207 | 미생물학 | 전공 | 3 | 2 | 1 |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BSMS212 | 질병미생물학 | 전공 | 3 | 2 | 2 |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BSMS301 | 면역학 | 전공 | 3 | 2 | 1 |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BSMS323 | 미생물병리학 | 전공 | 3 | 3 | 1 |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BSMS304 | 세균학 | 전공 | 3 | 3 | 2 |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BSMS405 | 바이러스학 | 전공 | 3 | 4 | 1 |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BSMS424 | 휴먼마이크로바이옴 | 전공 | 3 | 4 | 2 | |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BSMS202 | 의생명과학실험II | 전공 | 3 | 2 | 2 | |
편성학점 총 계 | 24 |
4이수인정 조건
5학생 수요(예측) 및 마이크로디그리 전망
생물학을 전공으로 한 학생들이 제약 회사 취업 시 약학이나 화학 전공 학생들에 비해 우위를 점하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어 왔음. 그러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영역은 화학이나 약학 전공자에 비해 생물학 전공 학생들이 강점을 가지는 분야인 만큼, 본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학부생들의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측하며, 이를 통해 제약 분야 취업 및 진학 희망 시 우수한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으로 전망함.